어묵탕은 추운 겨울에는 물론이거니와 더운 여름에도 생각나는 메뉴입니다. 포장마차에서 김이 모락모락 오르는 꼬치 어묵을 보면 발길이 절로 멈추곤 하지요. 집에서 만드는 어묵탕은 사 먹는 음식과는 조금 다릅니다. 원하는 재료를 넣어 내 입맛대로 끓일 수 있고, 넉넉히 만들어 두면 저녁 반찬부터 야식, 술안주까지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 무척 편리합니다.
어묵탕의 핵심은 국물입니다. 보통 멸치와 다시마를 기본으로 하지만 무, 양파, 대파 뿌리를 함께 넣으면 훨씬 시원한 맛을 낼 수 있습니다. 멸치는 내장을 제거해 쓰는 것이 좋고, 다시마는 물이 끓기 전에 넣었다가 한소끔 우린 뒤 건져내야 깔끔합니다. 저는 대파 뿌리를 꼭 챙겨 넣는데, 국물 향이 한층 깊어져 어묵 맛이 훨씬 살아납니다. 무를 크게 썰어 넣으면 달큼함이 배어 나오고, 양파는 은근한 단맛을 더해줍니다. 이렇게 낸 육수는 넉넉히 만들어 두면 남은 국물에 칼국수나 라면을 넣어 변화를 줄 수 있어 활용도가 높습니다.
어묵은 취향대로 고를 수 있습니다. 꼬치 어묵을 꽂아 넣으면 포장마차 분위기가 나고, 납작 어묵과 어묵볼을 섞으면 씹는 맛이 다양해집니다. 부산 어묵처럼 두툼한 제품은 식감이 좋고, 얇은 어묵은 부드럽게 즐기기 좋습니다. 어묵을 그냥 넣어도 되지만 끓는 물에 살짝 데쳐 기름기를 빼주면 국물이 훨씬 맑아집니다. 예전에 이 과정을 생략했다가 국물이 탁해져 아쉬웠던 적이 있습니다. 번거로워도 잠깐 데쳐내면 확실히 차이가 납니다.
채소도 어묵탕 맛을 좌우합니다. 무와 대파, 양파는 기본이고, 버섯이나 유부 주머니를 넣으면 국물이 더 풍성해집니다. 유부 안에 당면이나 채소가 들어 있으면 아이들이 특히 좋아합니다. 매운맛을 원하면 청양고추를 넣어 칼칼하게 끓이고, 가족과 함께 먹을 땐 달걀을 풀어 넣어 부드럽게 마무리해도 좋습니다.
간은 국간장과 소금으로 맞춥니다. 간장은 국물의 깊이를 더하지만 많이 넣으면 탁해질 수 있으니 적당히 넣고, 마지막은 소금으로 조절하는 편이 좋습니다. 저는 간장을 한두 스푼만 넣고 소금으로 마무리하는 방식을 씁니다. 후춧가루를 약간 뿌리면 국물이 따뜻한 느낌을 더해줍니다.
불 조절도 중요합니다. 처음에는 센 불에서 끓이다가 어묵과 채소를 넣은 뒤에는 중 약불로 줄여 은근히 끓여야 재료 맛이 국물에 배면서도 어묵이 퍼지지 않습니다. 오래 끓이면 어묵의 식감이 물러지므로 먹기 직전에 넣는 것이 가장 맛있습니다. 남은 국물은 무와 대파를 조금 더 보충해 다시 끓이면 처음처럼 개운한 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
어묵탕은 다양한 응용이 가능합니다. 국물에 당면이나 라면 사리를 넣으면 든든한 한 끼 식사가 되고, 칼칼하게 즐기고 싶을 때는 고춧가루를 풀면 얼큰한 국물로 변신합니다. 남은 국물에 칼국수나 수제를 넣어 먹으면 또 다른 별미가 됩니다. 가끔 밥을 말아 간단한 아침으로 먹기도 하는데, 전날 저녁 준비해 둔 어묵탕이 있어 아침이 수월해지더군요.
보관할 때는 어묵이 들어간 상태로 오래 두기보다는 국물만 따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힌 뒤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하면 다음 날까지는 무난하게 먹을 수 있습니다. 다시 끓일 때 새로운 어묵을 넣으면 맛이 훨씬 깔끔합니다. 오래 두면 어묵이 퍼지고 국물이 탁해지니 가능하면 이틀 안에 먹는 게 가장 좋습니다.
어묵을 고럴 때는 성분 표시를 살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시중 어묵은 전분과 밀가루 함량이 많아 퍽퍽한 경우가 있는데, 생선 함량이 높은 제품일수록 씹는 맛이 좋고 국물 맛도 깊어집니다. 부산 지역에서 생산된 어묵은 두툼하고 탄력이 좋아 국물 요리에 특히 잘 어울립니다. 가격 차이는 조금 있지만 한 번 써 보면 확실히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어묵탕을 제대로 즐기고 싶을 때는 재료 선택부터 신경 쓰는 것이 좋습니다.
육수를 낼 때도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멸치와 다시마 외에도 황태나 건새우를 넣으면 감칠맛이 더해지고, 가쓰오부시를 활용하면 일본식 가락국수 국물 같은 깔끔한 풍미가 납니다. 가끔 집에 남아 있는 새우 껍질을 모아 두었다가 함께 넣어 끓이는데, 의외로 국물이 깊어져 만족스러웠습니다. 이런 작은 변화가 매번 같은 어묵탕을 조금씩 다르게 만들어 주는 재미가 있습니다.
주말 저녁이면 어묵탕을 자주 끓입니다. 한 냄비 가득 끓여두면 가족 모두가 만족하고, 다음 날까지 따뜻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국물에서 올라오는 김만 봐도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예전에 간을 너무 세게 맞춰 짜게 만든 적이 있었는데, 그 뒤로는 소금으로 조금씩 조절하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작은 실수에서 배운 덕분에 지금은 안정된 맛을 낼 수 있게 되었고, 가족들이 “오늘 국물 정말 시원하다”라는 말을 해 줄 때마다 기분이 좋아집니다. 남은 국물은 종종 죽을 끓이는 데 쓰기도 하는데, 쌀을 넣어 은근히 끓이면 또 다른 별미가 됩니다. 밤늦게 간단히 먹기에도 부담이 없어 자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어묵탕은 복잡한 기술이 필요한 음식이 아닙니다. 육수만 제대로 내고, 어묵을 데쳐 넣으며, 채소와 간을 알맞게 맞추면 누구나 맛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한 번 끓여 두면 여러 상황에 활용할 수 있고, 따뜻한 국물이 주는 만족감 덕분에 식탁이 풍성해집니다.
집에서도 가볍게 끓여 보세요. 가족과 한 그릇 나누면 속이 편안해지고, 뜨끈한 국물 한 모금이면 몸이 먼저 반응합니다. 찬바람 부는 날 특히 잘 어울립니다. 김이 올라오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놓이고, 긴장이 풀립니다. 식탁에 올려두면 모두 젓가락이 먼저 가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거예요. 바쁜 날에도 재료만 준비되면 금방 끓일 수 있는 요리입니다. 남은 국물은 다음 날 아침 칼국수로도 드셔보세요. 얼큰하게 먹고 싶다면 청양고추를 추가해 주세요. 한 냄비 끓여두면 저녁 준비가 훨씬 수월해지실 겁니다.